본문 바로가기
728x90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일반2

NoSQL 유형 별 개념 및 특성 정리/ MongoDB 선정 이유와 후기 개요 작년 말 조직개편으로 다른 분이 진행하던 프로젝트를 떠맡게 되었다ㅠㅠ 우리 회사 빌링시스템의 여러 모듈은 Oracle 공통 DB를 바라보고 있는데, 여기에서 일부 업무를 분리하여 MongoDB로 전환하는 프로젝트이다.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Oracle에서 MongoDB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윗분들의 걱정이 크셔서 윗분들을 설득하기 위해(내가 제안한게 아니라서 나도 설득 필요 ㅠㅠ) RDB부터 NoSQL까지 데이터베이스 유형별 비교가 필요하여 정리한다. 주요 내용은 "7 데이터베이스, 에릭 레드몬드, 짐 R. 윌슨"을 참조하였다. 일단 내가 맡은 프로젝트는 대략 아래와 같은 특성과 목표를 가지고 있다. 공통 DB(Oracle)의 다양한 테이블을 조인하여 MongoDB에 한 개의 Collection.. 2022. 9. 21.
[Database] ACID, BASE, CAP 이론과 DB 선택 방법 회사에서 NoSQL DBMS 도입을 검토하면서 ACID, BASE, CAP 이라는 용어를 접했습니다. ACID는 어디서 많이 들어본거 같은데, BASE와 CAP은 처음 들어봤습니다. 각 용어의 정의와 어떤 때 어떤 조건을 충족시켜야 할지 고민해보겠습니다. 1. ACID ACID(원자성, 일관성, 고립성, 지속성)는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을 가리키는 약어 입니다. (위키백과, ACID)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에 대한 하나의 논리적 실행단계를 트랜잭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의 계좌이체를 트랜잭션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계좌이체라는 트랜잭션이 내부적으로는 여러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송신자 계좌의 금액 감소', '수신자 계좌의 금액 증가'가 한 동작.. 2022. 9.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