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5

[책리뷰][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 OKR의 핵심 제대로 이해하기 1. OKR(Objective Key Results)이 뭐지? OKR은 목표(Objective) 및 핵심 결과지표(Key Results)를 의미합니다. OKR은 조직과 개인이 체계적이고 측정 가능한 방식으로 목표와 결과를 정의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목표 설정 및 성과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 회사에서 기존에는 KPI 중심으로 목표를 세우고 성과를 측정했는데, 최근에는 OKR이 언급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OKR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서 이 책을 읽게 되었고, 리뷰를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처음에는 단순히 성과를 측정하는 체계 정도로 알고 읽었으나, 성과의 측정 자체보다는 성과를 높이기 위해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위한 핵심지표를 정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방법론도 방법론이지만, 이 책의 전체.. 2023. 8. 27.
[책][리뷰][아이와 함께 꼭 가봐야할 박물관 여행] 지금까지는 주로 야외 활동을 많이 했지만, 아이들이 조금씩 자라면서, 박물관 여행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모와 함께 어디를 "가기"만 해도 좋아하던 유아기를 지나, 초등학교 저학년쯤 되면, 단순히 "어디"가 상당히 중요해지는데요. 비가 오는 날이나, 교육적인 목적으로 혹은 재미를 위해 박물관이 좋아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박물관 투어를 해볼까? 생각하던 중 박물관 여행에 대해서만 한정해서 모아둔 책이 있어 읽어보았습니다. 이 책은 국립박물관, 자연사박물관, 역사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등으로 테마에 따라 분류해 놓아서 관심이 가는 분야가 있다면 찾아보기 좋게 정리가 되어있습니다. 인터넷을 뒤져보면 아이와 함께 가볼 곳에 대한 정보는 많지만, 박물관에 한정해서 모아 둔 것이 유용한 측면이 있습니다. 아쉬운.. 2023. 8. 1.
[경영] 개발 함정을 탈출하라 - 1부 개발함정과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의 개념 "개발 함정을 탈출하라" 라니 제목부터 너무 끌리지 않나요? 저는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고 있습니다만,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이 무엇인지 사실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프로덕트 매니저가 무엇인지, 좋은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이 책을 선택했습니다. 1부 개발 함정 1부에서는 이 책의 제목인 개발함정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진정한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는 어떤 것인지 이야기합니다. 성과물이 아닌 산출물을 성공 기준으로 삼다가 옴짝달싹 못하게 됐을 때, 소프트웨어에 들어가는 기능의 실제 가치는 확인하지 않고 기능을 개발해서 출시하기에만 급급할 때 기업은 개발 함정이라는 덫에 빠진다. 사용자에게 효용가치를 전달하지 못하는 조직은 시장 점유율을 잃으면서 무너지기 시작한다... 2023. 3. 20.
[디자인][부업] 승인율99.9% 이모티콘 만들기 아이들이 매일 같이 그림을 그려대고 있습니다. 문득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이모티콘으로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이모티콘이 부업으로도 괜찮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한번 도전해 보고자 책을 빌렸습니다. 제 그림 솜씨야 좀 비루하지만, 책 서문 읽어보니, 꼭 잘 그려야 된다는 법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빌려서 읽어보니, 이모티콘 플랫폼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들과 승인 및 판매순위를 올리기 위한 다양한 팁이 실려있습니다. 저처럼 그림에 소질이 없는 사람들보다는 그림에 소질이 있지만, 이모티콘 승인을 잘 못받는 사람들을 위한 이모티콘 기획 쪽에 포커싱이 되어있습니다. 그림 자체와 관련하여 캐릭터 표정, 얼굴 형, 동작, 소품 등을 활용하는 예시가 나와있어서, 저 같은 초보가 보고 참고하기 좋을 것 같.. 2023. 1. 10.
[리뷰][교육] 용돈 교육은 처음이지? - 경제 관념을 키우는 초등학생 용돈 교육 서론 도서관 신간이 모여있는 곳에서 무얼 읽을까 고민하다가 문득 이 책이 눈에 띄었습니다. 저는 어릴 때 경제에 대해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도 금전 감각이 별로 없는 편입니다. 나름 좋은 대학나와서 좋은 직장에 다니지만, 결국은 월급쟁이로 사는 것이 나이 들수록 허무하기도 하고, 참 피곤하기도 합니다. 부자인 사촌이나 친구들을 보면 부모에게 물려받는 유산도 유산이지만, 돈에 대한 감각이나 생각이 저랑은 많이 다른 것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저는 큰 재산은 못 물려줘도 돈에 대해서는 일찌감치 가르치려고 마음먹었습니다. 그래서, 첫째 여섯 살에 용돈 교육을 시도한 적이 있는데, 실패했습니다. 그때는 첫째가 돈이라는 것에 크게 관심이 없었고 흐지부지 되었죠.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어른들에게 받는 용돈을 악.. 2022. 9.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