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독립표본2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작업형3] 비모수 검정 Mann-Whitney-U 검정, Wilcoxon 순위합 검정 (독립표본) 두 개의 독립적인 표본에 대해 정규성 가정이 충족되지 않으면 비모수 검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독립표본에 대한 비모수 검정 방법은 Mann-Whitney U 검정, Wilcoxon Rank Sum 검정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비모수 검정 방법은 두 독립 그룹의 중앙값을 비교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음은 이에 대한 예제입니다. ※ 만약 데이터에 결측치가 존재하면 dropna()로 제거하고 진행합니다. import numpy as np # 정규성을 충족하지 않는 데이터 생성을 위해 지수분포를 사용 samp1 = np.random.exponential(scale=1, size=100) samp2 = np.random.exponential(scale=1, size=100) print(stats.shapiro(.. 2023. 6. 26.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작업형3] t검정(대응표본, 독립표본, 단일표본) 간단 요약 - 대응표본 가설검정은 시점 차이 등에 따라 쌍을 이루는 관찰이 있을 때 사용한다. - 독립표본 가설검정은 두 독립 집단의 측정치를 비교할 때 사용한다. - 단일표본 가설검정은 알려지거나 가정한 평균과 단일 집단의 평균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 세 가지 가설 검정은 모수 검정으로서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t-검정에 대해서는 아래 자료를 참고: https://mindscale.kr/course/basic-stat-python/15/ 대응표본 가설 검정 대응표본 가설 검정은 동일한 집단의 관측값이 서로 다른 조건 또는 서로 다른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경우, 관측치의 평균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개인 그룹이 있고 치료 전후에 혈압을 측정한다고 가정하.. 2023. 5. 18.
728x90